인터넷우체국 각 서비스 바로가기 우표포털 본문내용 바로가기 우표포털 하단 바로가기

한국우표포털서비스 K-stamp

  • 우표배움터

    • 우표의역사
    • 즐거운우표수집
  • 우표정보

    • 한국우표
    • 세계우표
  • 우표시장

    • 우표장터
    • 온라인 구매
    • 오프라인 구매
  • 우표문화체험

    • 우표박물관
    • 우표전시회
  • 우표로보는세상

    • 해외우취소식
    • 우편 130년
    • 우표 명작을 말하다
    • 우정이야기
    • 우표수집정보
    • 시간여행
    • 우표디자이너 인터뷰
    • 우표 뒷이야기
    • 대한민국 방방곡곡
    • 우정문화웹툰
  • 어린이 우표세상

    • 우표야놀자
    • 청소년 우표교실
    • 우정문화 동영상
    • 우표배경화면
  • 인기
우표스쿨 우표갤러리 우표 샵 우표박물관 우표로 보는 세상 쥬니어 스탬프

우표

우표는 한 국가의 정치, 사회, 문화, 역사 등 다양한 소재를 담고 있어 우리에게 매우 유익한 정보를 줍니다.

패랭이 - 전통 생활문화 특별(여섯 번째 묶음) 우표사진

  • 클릭하면 확대되어 보입니다.
  • 클릭하면 확대되어 보입니다.
  • 확대보기
  • 관심등록
날짜도장 발행안내카드
전통 생활문화 특별(여섯 번째 묶음)

전통 생활문화 특별(여섯 번째 묶음)

우표번호 2391
종수 4
발행량 560000
디자인 패랭이
인쇄 및 색수 요판 2도(팔각형 우표)
전지구성 4×4 (4종연쇄)
디자이너 모지원
발행일 2004. 8. 20.
액면가격 190원
우표크기 35×35
인면 35×35
천공 13
용지 요판 원지
인쇄처 한국조폐공사

상세설명

"전통 생활문화 특별 마지막 발행인 여섯 번째 묶음에서는 머리를 보호하고 장식하거나 신분이나 의례에 따라 격식을 갖추기 위하여 쓰던 관모(冠帽)를 소개한다. 관모는 실용적·장식적·상징적 의미를 담아 다양한 형태로 발달되어 왔다. 우표에 소개된 관모는 국립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금관(金冠)
조선시대 문무백관이 원단(元旦), 국경일, 대제례(大祭禮), 조칙의 반포 시에 조복(朝服)과 함께 착용하던 것으로 이를 금관조복이라고 한다. 금관의 모양은 원통형이고, 관 전면의 머리둘레 부분과 후면 전체에 당초무늬를 하였으며, 여기에 금칠을 하고 나머지는 흑색이었다. 여기에 목잠(木箴)이라는 관을 가로지르는 비녀가 있어 그 목잠에도 금칠을 하였다.

패랭이
대나무 가지로 성글게 엮어 만든 패랭이는 조선 초기에 흑립(갓)이 양반층의 전유물이 되면서 역졸, 보부상, 백정 등의 신분이 낮은 이들이 착용하거나 상복(喪服)으로서 상주(喪主)가 외출 시에 두건 위에 쓰기도 하고 비 오는 날 착용하기도 하였다. 역졸은 흑칠한 것을 쓰고, 보부상은 패랭이에 주먹크기 만한 목화송이를 얹어 썼다.

사모(紗帽)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까지 문무백관이 평상복에 착용하던 관모로 서민들도 혼례 때에는 사모를 착용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사모는 뒤가 높고 앞이 낮아 중간에 턱이 진 형태로 뒷면에는 좌우로 각(角)을 달았다. 겉면은 죽사(竹絲)와 말총으로 짜고 그 위에 얇은 비단을 덮었다.


세죽사(細竹絲)나 말총으로 만드는 갓은 조선시대를 이어 내려온 대표적인 관모로, 흑립(黑笠)이라고도 불리며, 조선 초에는 백관 조복(朝服)에 사용되기도 했고, 나중에는 사대부와 서민의 통상 관모로 말엽까지 착용되었다. 갓끈을 맬 때 다는 정자(頂子)를 백옥 정자, 수정 정자 등으로 다르게 하여 그 사람의 직품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기 발행된 모든 우표류(우표, 엽서, 원화, 우표책, 우표첩, 날짜도장)의 이미지 및 내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미지와 내용을 변경하여 사용시에는 우정사업본부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