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우체국 각 서비스 바로가기 우표포털 본문내용 바로가기 우표포털 하단 바로가기

한국우표포털서비스 K-stamp

  • 우표배움터

    • 우표의역사
    • 즐거운우표수집
  • 우표정보

    • 한국우표
    • 세계우표
  • 우표시장

    • 우표장터
    • 온라인 구매
    • 오프라인 구매
  • 우표문화체험

    • 우표박물관
    • 우표전시회
  • 우표로보는세상

    • 해외우취소식
    • 우편 130년
    • 우표 명작을 말하다
    • 우정이야기
    • 우표수집정보
    • 시간여행
    • 우표디자이너 인터뷰
    • 우표 뒷이야기
    • 대한민국 방방곡곡
    • 우정문화웹툰
  • 어린이 우표세상

    • 우표야놀자
    • 청소년 우표교실
    • 우정문화 동영상
    • 우표배경화면
  • 인기
우표스쿨 우표갤러리 우표 샵 우표박물관 우표로 보는 세상 쥬니어 스탬프

지난 시간여행

인물과 역사를 바로 알고 현재 우리의 모습과 비교해 봄으로써 선조들의 지혜를 알아 봅시다.

지난시간여행
제목 백 돌을 맞이한 한국영화의 초창기
등록일 2019. 10. 25.
첨부파일 첨부파일없음
Untitled Document
영화(映畵)는 사진의 원리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연속 촬영함으로써 영사했을 때 피사체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영상 매체다. 필름(film), 시네마(cinema), 모션 픽처(motion picture), 무빙 픽처(moving picture), 키노(kino), 전영(電影)이라고도 한다. 초기 우리나라에서는 활동사진(活動寫眞)이라 하였는데, oving picture를 직역한 것으로 ‘움직이는 사진’이란 뜻이다.

      “동대문 내 전기회사 기계창(器械廠)에서 시술(施術)하는 활동사진은 일요 및 우천을 제외하고는 매일 하오 8시부터 10시까지 설행(設行)하는데, 대한(大韓) 및 구미각국의 생명도시(生命都市)의 절승(絶勝)한 광경이 구비 하외다. 입장요금 동전 10전”. 1903년 6월 23일 자 황성신문에 게재된 광고문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 상영이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기사다. 이때부터 1919년까지 구미 각국에서 수입된 영화가 상영되어, 한국영화계의 개척자들에게 영화제작의 의욕과 영화인의 등장을 준비하는 기간이기도 하다.  

   영화관은 1906년 한미전기회사(韓美電氣會社)가 동대문 안에 활동사진관람소를 만들고 해설을 곁들여 초기 미국영화를 많이 상영한 것이 그 시작이다. 이후 광무대(光武臺), 장안사(長安社), 단성사(團成社), 연흥사(演興社) 등 상설 영화관이 등장했다.

1910년부터 싹트기 시작한 신파연극은 천편일률적 1910 이어서 관객을 잃어가던 중 연쇄극(連鎖劇, kinodrama)을 선보여 그 탈출구가 되었다. 연쇄극은 연극 장면 가운데 무대에서 표현하기 어려운 야외 장면이나 활극 장면 등을 영사화면으로 만들어 공연 중에 삽입하여 연극과 영화가 연쇄되어 줄거리를 이어가는 형식이다. 영화보다는 연극에 가깝다. 이런 연쇄극 형식의 <의리적 구투>(義理的仇討)가 신극좌(新劇座)를 이끌던 김도산이 박승필의 출자로 만들어 1919년 10월 27일 단성사에서 상영한 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다.

     1923년 일관된 극적 내용을 가진 영화가 공개되었다. 윤백남이 연출한 <월하의 맹서>(月下-盟誓)가 한국 극영화의 효시로서 무성영화 시대의 막을 열었다. 같은해 하야가와(早川松次郎)에 의해 만들어지고 한국배우가 출연한 무성영화 <춘향전> 이 대중의 큰 인기를 얻었다. 이 무렵부터 영화제작이 본격화됐다.  

    1926년 단성사에서 개봉된 *나운규 시나리오·감독·주연의 <아리랑>은 강렬한 개성을 부각해 한국영화 도약의 발판이 되었다. <아리랑>을 기점으로 민족의 자존과 항일 저항 의지를 표현한 일련의 작품들이 이어졌다. 1930년대 들어서면서 사실주의와 계몽주의 경향의 영화들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심훈 감독의    <먼 동이 틀 때>    (1927), 나운규 감독의 <사랑을 찾아서>(1928),    <벙어리 삼룡>(1929), 이규환 감독의    <임자없는 나룻배>    (1932)는 무성영화의 전성기 작품이다.  

    이용우 감독, 이필우 촬영·녹음의 <춘향전>은 한국영화 최초의 발성영화다. 경성촬영소가 올 *토키로 만들어 1935년 10월 4일 단성사에서 개봉하여 흥행에 크게 성공했다. 불과 10여 년 만에 무성영화에서 발성영화 시대로 옮겨졌다.  

     1940년대 초반은 일제의 정책에 의해 제국주의 전쟁을 정당화하고 황국 신민 의식을 고취하는 계몽영화들이 쏟아져 나온 영화의 암흑기였다. 이후 1945년 일제로부터의 해방으로 침체에 빠진 한국영화가 숨통을 트게 된다.  

    우리나라는 영화시리즈 우표를 네 차례(2007년 10월 26일, 2008년 10월 27일, 2009년 10년 27일, 2010년 10월 27일)에 걸쳐 각 4종씩 16종을 발행하였다. 올해 10월 25일에는 ‘한국영화 100년’을 기념하는 우표를 발행한다.      

    -----------
  *나운규(羅雲奎, 1902~1937): 호 춘사(春史), 함경북도 회령 출생. 간도 명동중학교 졸업. 영화감독 겸 배우. 1925년 영화   <운영전>으로 데뷔. 건국훈장 애국장.   

 

  *토키(talky): 동시에 음성·음악 등이 나오는 영화.  

  

※참고자료: 위키백과, MBN 온라인뉴스(2019.10.15.), 전북일보(2019.10.15.)

지난시간여행 이전글 다음글 보기
이전글 29년 만의 남ㆍ북 축구경기
다음글 국제영화제와 우리나라 수상작

기 발행된 모든 우표류(우표, 엽서, 원화, 우표책, 우표첩, 날짜도장)의 이미지 및 내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미지와 내용을 변경하여 사용시에는 우정사업본부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