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우체국 각 서비스 바로가기 우표포털 본문내용 바로가기 우표포털 하단 바로가기

한국우표포털서비스 K-stamp

  • 우표배움터

    • 우표의역사
    • 즐거운우표수집
  • 우표정보

    • 한국우표
    • 세계우표
  • 우표시장

    • 우표장터
    • 온라인 구매
    • 오프라인 구매
  • 우표문화체험

    • 우표박물관
    • 우표전시회
  • 우표로보는세상

    • 해외우취소식
    • 우편 130년
    • 우표 명작을 말하다
    • 우정이야기
    • 우표수집정보
    • 시간여행
    • 우표디자이너 인터뷰
    • 우표 뒷이야기
    • 대한민국 방방곡곡
    • 우정문화웹툰
  • 어린이 우표세상

    • 우표야놀자
    • 청소년 우표교실
    • 우정문화 동영상
    • 우표배경화면
  • 인기
우표스쿨 우표갤러리 우표 샵 우표박물관 우표로 보는 세상 쥬니어 스탬프

지난 시간여행

인물과 역사를 바로 알고 현재 우리의 모습과 비교해 봄으로써 선조들의 지혜를 알아 봅시다.

지난시간여행
제목 개천절과 어천절
등록일 2024. 10. 7.
첨부파일 첨부파일없음
Untitled Document
시간여행 2024년 10월호 첫 번째 개천절과 어천절
관련우표
개천절(開天節)과 어천절(御天節)은 한국의 전통 신화와 관련된 날로, 하늘과 인간 세상 사이 관계를 기념하는 날이다. 이날은 우리 고대 역사와 신화를 바탕으로 하지만, 그 의미와 배경에는 차이가 있다.

개천(開天)은 하늘이 열렸다는 의미로, 환웅(桓雄)이 인간 세상에 내려와 새로운 질서를 세운 것을 상징한다. 개천절은 단군신화에 기반하여 단군왕검(檀君王儉)이 기원전 2333년에 고조선을 건국한 날로 여겨진다. 우리나라는 10월 3일을 국경일로 정하고 있다.

어천(御天)은 하늘로 올라간다는 의미로, 한배검(단군)이 하늘로 올라가며 인간 세상과 하늘 사이의 관계가 마무리된 것을 말한다. 한배검은 상원갑자년(上元甲子年)에 인간세계에 내려와 124년 동안 교화(敎化)와 93년 동안 치화(治化)를 마치고 음력 3월 15일에 아사달(백두산)에서 다시 하늘(한울)로 올라갔다. 어천절은 음력 3월 15일로 대종교(大倧敎)의 4대 경절 중 하나다.

개천절과 어천절은 단군신화와 관련하여 단군의 地上降臨(지상강림, 하늘이 열리는 날)과 天上昇天(천상승천, 하늘로 돌아가는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하나는 시작을, 다른 하나는 마무리를 상징한다. 개천절은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는 공식적인 국경일로 널리 알려졌고, 어천절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신화적인 맥락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어천절은 개천절의 기원이 되었다.

단군은 우리 민족의 시조로, 만주와 한반도에 처음 출현한 청동기 국가 고조선을 세웠다고 일컬어진 인물이다. 고려 후기에 쓰인 「삼국유사」와 「제왕운기」에 처음 나타난다. 일연이 쓴 삼국유사에서는 단군 신화에 대해 상세히 썼고, 이승휴가 쓴 제왕운기에는 역사적인 관점에서 단군을 조명하였다.

조선시대 세종과 세조 대를 거치면서 단군은 국가 차원에서 시조로 받들어진다. 이후 성리학의 발전으로 중국의 성인 기자가 고조선에 와서 국가를 부흥시키고 유교 문화를 전수했다는 주장의 ‘箕子東來說’(기자동래설)은 단군보다 기자를 강조한다. 조선 말기가 되면서 열강의 침입에 대한 저항 의식으로 민족의 정체성을 단군에서 찾고자 하였다. 단군을 숭배하는 대종교도 이때 만들어진다.

북한에서는 평양에 단군릉을 만들고, 고조선을 이곳에 세웠다고 하며, 평양을 성지화하는 작업이 활발하다. 북한은 「단군릉 발굴 보고」에 나오는 남녀 유골이 5천년 전 것이라고 주장한다. ‘대동강 문명’을 포함하여 세계 4대 문명이 아닌 5대 문명이 있었다고 말한다. 수용하기 힘든 주장이다.

우정사업본부는 2008년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뿌리에 대한 역사의식을 높이기 위해 국조(國祖)인 단군왕검과 우리 민족 최초 국가인 고조선의 건국에 관한 이야기를 우표에 담아 소개했다. 『삼국유사』의 건국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 4장의 연쇄 우표는 고조선을 건국한 단군왕검, 단군왕검의 탄생, 사람이 되기를 원하는 곰과 호랑이, 태백산 신단수에 내려온 환웅을 소재로 하였다.
관련우표
[참고문헌]
- 「1페이지 한국사 365」, 2020, 심용환, 비에이블.
지난시간여행 이전글 다음글 보기
이전글 하늘하늘 모시 짜자, 한산모시짜기
다음글 노벨상과 한강

기 발행된 모든 우표류(우표, 엽서, 원화, 우표책, 우표첩, 날짜도장)의 이미지 및 내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미지와 내용을 변경하여 사용시에는 우정사업본부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