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우체국 각 서비스 바로가기 우표포털 본문내용 바로가기 우표포털 하단 바로가기

한국우표포털서비스 K-stamp

  • 우표배움터

    • 우표의역사
    • 즐거운우표수집
  • 우표정보

    • 한국우표
    • 세계우표
  • 우표시장

    • 우표장터
    • 온라인 구매
    • 오프라인 구매
  • 우표문화체험

    • 우표박물관
    • 우표전시회
  • 우표로보는세상

    • 해외우취소식
    • 우편 130년
    • 우표 명작을 말하다
    • 우정이야기
    • 우표수집정보
    • 시간여행
    • 우표디자이너 인터뷰
    • 우표 뒷이야기
    • 대한민국 방방곡곡
    • 우정문화웹툰
  • 어린이 우표세상

    • 우표야놀자
    • 청소년 우표교실
    • 우정문화 동영상
    • 우표배경화면
  • 인기
우표스쿨 우표갤러리 우표 샵 우표박물관 우표로 보는 세상 쥬니어 스탬프

우표수집정보

우표수집과 관련하여 우취인이 직접 전하는 전문 정보입니다.

우표수집정보상세보기
제목 휘황찬란한 마법의 빛
등록일 2025. 1. 23.
첨부파일 up20250203123546793.jpg
우표수집정보-144. 휘황찬란한 마법의 빛

오로라가 나타나는 원리는 태양이 끊임없이 태양풍이라는 플라즈마를 방출하고 이러한 태양풍이 지구에 도달하면서 지구의 자기권을 자극하게 되고 이때 자극을 받은 자기장이 대기 상층부에 있는 공기 분자들과 충돌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마법의 빛이 만들어진다. 그래서 북극과 남극 근처에는 자기장이 시작되는 지점이어서 태양풍이 지구의 대기와 충돌 할 때 나타난다. 따라서 북극과 남극의 자기장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높은 위도에서만 오로라가 발생한다. 북극과 남극 가까이에 있는 고위도 지방에서는 태양 활동이 활발할 때 오로라(극광)라고 불리는 휘황찬란한 마법의 빛 향연이 펼쳐진다. 오로라는 극지방에서 주로 관찰되며, 북극권에서는‘북극광’남극권에서는 '남극광'이라고 부른다. 오로라의 색상은 어떤 종류의 분자와 충돌하는지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산소 분자와 충돌하면 초록색 또는 붉은색 빛이 발생하고, 질소 분자와 충돌하면 보라색 또는 푸른색 빛이 발생 된다. 보통은 초록색 오로라만 보이지만 드문 확률로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분홍색, 보라색, 민트색, 흰색, 밝은 갈색 같은 다채로운 오로라도 간혹 목격되기도 한다.

오로라라는 이름은 황금빛을 의미하는 단어 오르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동틀녘 하늘에 태양에서 황금빛이 발할 때를 의미하는 '새벽', 또는 '신명'이라는 뜻의 라틴어이며 로마신화에서 나오는 여명의 여신(그리스신화의 에오스)이기도 하다. 오로라는 눈처럼 하얗고 장미 향기가 나는 피부를 가진 금발의 아름다운 여신이며 태양신 헬리오스의 누이동생이다. 중위도에서 볼 수 있는 극광이 새벽빛과 비슷하므로 17세기경부터 극광을 오로라라고 부르게 되었다. 새벽을 의미하는 다운(dawn) 이라는 표현은 영어의 다강(Dagung)에서 유래하였다. 북극과 남극 안쪽, 즉 극점 근처에서는 보기가 어려운 이유는 주로 나타나는 곳이 지자기 위도상으로 65~70도 정도의 범위이기 때문이다. 지구 이외에 목성. 토성. 화성 등에도 오로라 현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기극이 시간에 따라 계속해서 움직이기에 오로라가 발생하는 위치 또한 계속해서 변한다. 보통 낮 시간대 강했다가 심야에 접어들수록 오로라가 약해진다. 커튼 모양의 오로라는 저녁때 가장 선명하게 빛나다가 한밤중에는 상단 부분이 내려오고 새벽 시간대에는 사라지는데 오로라 자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고 녹색 빛이 은은하게 빛난다. 이런 형태를 맥동성 오로라라고 한다. 오로라가 발광하는 곳은 초고층대기이며, 발광 색은 공기의 주성분인 질소와 산소의 분자와 원자 및 그 이온이 입사 입자에 의해 충돌되어 들뜨게 되고 다시 들뜬 입자가 낮은 에너지준위로 떨어질 때 방출되는 고유의 빛이다. 오로라의 대표적인 빛은 산소 원자가 방출하는 녹색 및 적색광 질소 분자 이온이 방출하는 청색 스펙트럼 그리고 질소 분자의 적색 또는 분홍색 스펙트럼 등이다. 이들 빛은 각각 높이와 분포지대가 다른데, 예를 들어 산소 원자의 적색은 200km보다 높은 곳에서 강하고, 산소 원자의 녹색과 질소 분자 이온의 청색은 100∼200km에서 강하며 또 질소 분자의 분홍색은 높이 100km 이하에서 강하다. 따라서 활동적인 커튼형 오로라는 상부가 진홍빛이고 중앙이 청록색, 하부가 녹색 또는 분홍색 등으로 다채롭다.

극야는 극지방에서 겨울철에 해가 뜨지 않고 밤이 지속하는 기간을 뜻하는 것으로, 북위와 남위 66.5° 이상의 극지, 즉 고위도 지역이나 극점 지역에서 겨울철에 오랫동안 해가 뜨지 않고 밤만 계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겨울에는 햇살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이 하루에 1~2시간도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에서는 12월 한 달 일조시간이 하루 1시 정도 하고 하니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스트레스가 있다고 한다. 오로라 중에는 저녁때의 저위도와 아침 녘의 고위도에서처럼 수소의 휘선이 보이는 부분이 있거나 헬륨과 나트륨의 빛이 포함되기도 한다.

오로라가 출현하는 위도가 지방시에 따라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오로라 출현대(지구를 극지의 상공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동시에 오로라가 보이는 영역)를 오로라 대와 구별해서 오로라 오벌이라고 한다. 일련의 오로라오벌은 대개 2종류의 오로라로 구성되는데, 낮에서 저녁을 거쳐 심야에 이르는 시간에는 커튼형 오로라이고, 그 이후 아침까지의 반은 주로 맥동성 오로라로서 일반적으로 엷은 배경으로 동반한다. 과거에는 관측장치의 감도 부족으로 인해서 맥동성 오로라를 충분히 관측할 수 없으므로 이 부분을 희미한 부정형 오로라라고 했다.




우표수집정보 이전글 다음글 보기
이전글 약리효능이 좋은 한반도의 원식물(原植物)
다음글 균류들의 튕겨나기 전략

기 발행된 모든 우표류(우표, 엽서, 원화, 우표책, 우표첩, 날짜도장)의 이미지 및 내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미지와 내용을 변경하여 사용시에는 우정사업본부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