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우체국 각 서비스 바로가기 우표포털 본문내용 바로가기 우표포털 하단 바로가기

한국우표포털서비스 K-stamp

  • 우표배움터

    • 우표의역사
    • 즐거운우표수집
  • 우표정보

    • 한국우표
    • 세계우표
  • 우표시장

    • 우표장터
    • 온라인 구매
    • 오프라인 구매
  • 우표문화체험

    • 우표박물관
    • 우표전시회
  • 우표로보는세상

    • 해외우취소식
    • 우편 130년
    • 우표 명작을 말하다
    • 우정이야기
    • 우표수집정보
    • 시간여행
    • 우표디자이너 인터뷰
    • 우표 뒷이야기
    • 대한민국 방방곡곡
    • 우정문화웹툰
  • 어린이 우표세상

    • 우표야놀자
    • 청소년 우표교실
    • 우정문화 동영상
    • 우표배경화면
  • 인기
우표스쿨 우표갤러리 우표 샵 우표박물관 우표로 보는 세상 쥬니어 스탬프

일화로 보는 우편 130년

일화로 보는 우편 130년 콘텐츠는 한국 우편에 대한 역사를 소소한 이야기로 풀어내는 공간입니다.

일화로 보는 우편 130년
제목 수취인 명단을 ‘광화문우체국’벽에 붙여놓고 찾아가게 하다
등록일 2015. 6. 2.
첨부파일 첨부파일없음
 
수취인 명단을 광화문우체국 벽에 붙여놓고 찾아가게 하다

  6ㆍ25전쟁은 일제 35년의 식민 통치하에서 지칠 대로 지친 우리 백성에게 하늘이 내린 또 하나의 재앙이었다. 오랜 세월 계속된 일제의 핍박, 그 중에서도 특히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치르느라 놋숟가락마저 공출당하면서 나라 경제가 피폐할 대로 피폐해진 마당에 동족상잔의 전쟁으로 그나마 남은 산업시설과 공공기관 건물마저 잿더미가 되었으니, 우리나라 5000년 역사에서 그보다 더 참혹한 재앙은 없었을 것이다.
  6ㆍ25전쟁으로 입은 피해는 군사시설이나 병사에 그치지 않았다. 군사 작전을 직접적이나 간접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체신관서나 통신시설도 못지않게 큰 피해를 입었다. 6ㆍ25전쟁과 1ㆍ4후퇴 등으로 서울을 빼앗기고 탈환하는 동안 우리 통신시설은 대부분 잿더미가 되었다. 우선 체신부 본부 건물이 불타 잔해만 남았다. 현업기관의 피해도 컸다. 서울체신청 관내의 서울중앙우체국, 중앙청내우체국, 종로5가우체국 등 21개 개국이 전소되었고, 경기도 내의 이포우체국, 사강우체국, 이동우체국 등 3개국이 전파되었다. 그밖에 많은 우체국이 반파되거나 피해를 입었다. 부산체신청 관내에서는 단계우체국, 위천우체국 등 8개국이 전소되었고, 야로우체국, 악양우체국 등 5개국이 전파 내지 대파되었다. 광주체신청 관내에서는 동복우체국, 삼계우체국 등 10개국이 전소되었고, 비아우체국, 복내우체국 등 3개국이 전파 내지 대파되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전쟁 전의 660개 우체국에서 73%에 해당하는 482개 우체국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란 중에 희생된 체신부 직원도 적지 않았다. 초대 체신부장 길원봉과 전무국장 황갑성은 북한군에 납치되어 북한으로 끌려갔고, 초대 체신부장관 윤석구는 고향 군산에서 공산군에게 붙잡혀 전주형무소에서 희생되었다. 1950년 9월 28일까지 피해를 입은 체신공무원은 사망이 67명, 납치가 63명, 행방불명이 76명이었고, 그밖에 중경상자가 28명이었다.
  우편함은 전쟁 직전의 3324개 중에서 2185개가 파괴되거나 손실되었고, 사서함은 3200개 중에서 1766개, 자전거는 2500대 중에서 1515대, 자동차는 54대 중 44대가 탈취되거나 파괴되었다. 그처럼 우편시설의 60% 이상이 손실을 보았다. 게다가 현업 우체국에서 취급하던 우편환 및 우편저금 자금을 본부나 상급기관으로 운송하지 못했기에 그들 자금 또한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6ㆍ25전쟁은 1950년 6월에 발발하여 휴전이 성립된 1953년 7월까지 계속되었으나, 인원과 통신시설의 피해는 대부분 1950년 6월부터 9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이는 전쟁이 일어난 지 며칠 안 돼 수도 서울이 함락되고, 몇 개월 사이에 경상도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이 적군의 손에 떨어졌는데, 그러한 사태에 대비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때문이었다.

  
체신사업복구선발대를 구성해 복구 작업을 서두르다

  6ㆍ25전쟁 당시 국군과 UN군 등 아군은 서울에서 두 번 철수했다. 첫 번째는 6ㆍ25전쟁이 발발한 직후인 1950년 6월이었고, 두 번째는 중공군의 참전으로 이른바 1ㆍ4후퇴를 단행했던 1951년 1월이었다. 1ㆍ4후퇴 당시 체신부는 정부의 천도계획에 따라 다시 부산으로 내려갔다.
  부산으로 피난한 체신부는 전투지역 이남에서 통신사업을 정상화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현업기관의 업무는 대부분 마비 상태에 빠져 있었다. 체신부 각 기관과 직원들은 전란을 피해 각지로 흩어졌다. 1951년 2월 현재 대한민국 정부가 자리잡고 있는 부산에서 전화 통화가 가능한 지역은 대구, 마산, 진해, 밀양, 삼랑진 정도였고, 전신은 천안, 공주, 홍성, 이리 등지의 이남과 통할 정도였다. 오로지 군사우체국만이 전선을 따라 이동하며 그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1ㆍ4후퇴는 오래 가지 않았다. 중공군의 힘에 밀려 수원 이남까지 후퇴했던 국군과 유엔군이 반격을 개시하여 한 달 뒤인 2월 10일 영등포와 인천 지역을 탈환했다.
  탈환지역이 서울로 확대되자 체신부는 현장 요원으로 조사단을 구성하여 그들 지역에 파견했다. 그들 지역에서의 통신사업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여 통신사업을 신속히 재개하기 위한 포석이었다. 그들이 실제로 조사한 내용은 철수 명령지역이 아닌 대전 이북 지역에서 통신사업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철수 명령지역인 천안 이북 지역에서 통신사업의 복구가 어디까지 가능하느냐는 것이었다.
  조사단이 실제로 활동을 전개한 기간은 1951년 2월 26일부터 3월 8일까지였고, 그 대상 지역은 대전, 공주, 예산, 천안, 수원, 영등포 등지였다. 그들의 보고에 의하면, 당시 통신 업무를 취급하고 있는 지역은 충주, 단양을 제외한 충청북도 전 지역과 천안 이남의 충청남도 지역이었다. 경기도의 일부 우체국 직원들은 전신전화 선로공사와 철도 체송이 개시되면 즉시 업무를 개시할 준비를 하고 있었고, 다른 지역에서도 복구 금지가 해제되는 대로 업무를 재개할 수 있도록 준비 작업을 서두르고 있었다. 천안우체국의 경우, 유엔군이 청사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임시 청사를 얻어 사용하고 있었다. 수원과 안양, 영등포 등의 우체국은 청사와 함께 통신시설이 모두 소실되어 업무를 개시할 엄두를 낼 수도 없었다.
  그 해 3월 14일 서울이 재탈환되고 국군과 유엔군의 계속적인 진격으로 수복지역이 확대됨에 따라 체신부는 소개 중인 체신관서 가운데 업무 취급이 가능한 지역에 대하여 조속히 복귀하도록 지시했다. 37도선 이남지역 중에서 치안이 확보된 지역에 한해 복귀하도록 하고, 그밖의 지역은 전세와 치안 상태를 살펴가며 되도록 속히 복귀하도록 했다. 구체적으로 지정된 복귀지역은 강원도의 울진 이남지역, 충청북도의 충주ㆍ단양 이남지역, 충청남도와 경상북도의 전 지역, 경기도의 수원 이남지역과 그 이북지역 중 경부선 연변 및 인천시를 포함한 서쪽지역 등이었다.
  서울이 재탈환되고 전세가 호전되자 체신부는 다시 체신사업복구선발대를 구성하여 서울로 파견했다. 26명으로 구성된 선발대는 3월 22일 서울에 도착하여 남아 있는 건물과 통신시설을 점검했다. 그러나 그 정도의 인원으로 대부분 파괴된 서울시내의 건물과 통신시설을 정비하고 보호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체신부는 4월 3일 24명으로 구성된 제2차 증발대를 파견하여 서울로의 복귀를 위한 준비 작업을 서둘렀다.
  그 동안 후퇴 중이던 공산군이 다시 공세를 취함에 따라 전세는 일진일퇴를 거듭했다. 체신사업복구선발대는 유엔군과 진퇴를 같이하며 수원과 서울 간을 몇 차례 왕복해야만 했다. 그 해 5월 다시 서울에 도착하여 각기 맡은 임무에 착수했다. 그 뒤 전황이 유리하게 전개됨에 따라 선발대의 임무를 강화하기 위해 5월 22일에는 3차 증원대로 14명을 파견하여 복구작업을 서둘렀다. 그 무렵에는 군 작전상 한강 이북의 이주가 허용되지 않았으나, 서울 근교에 머물러 있던 피난민들이 몰려드는 바람에 서울 인구가 30만 명으로 늘어났다.
  서울 인구가 그처럼 증가하자 통신 대책을 서두르지 않을 수 없었다. 체신부는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통신 서비스를 재개하기로 하고, 5월 30일 업무요원을 대거 파견했다. 그리하여 서울체신청, 광화문우체국, 서울중앙전신국, 서울중앙전화국 등 주요 관서에 업무요원을 파견하여 업무 재개를 위한 복구 작업을 서둘렀다. 그 중에서도 맨 처음 우체국 문을 열고 업무를 재개한 통신기관은 광화문우체국이었다.

우편물을 동회에 배달하면 동회에서 수취인에게 전달하다
  광화문우체국은 1851년 6월 15일 전쟁 중에 닫아걸었던 우체국 문을 열고 30만 서울 시민이 갈망하는 우편 업무를 재개했다. 그렇다 해서 우체국의 모든 업무를 정상적으로 취급할 수는 없었다. 당시는 서울로 복귀한 직원들이 많지 않은 데다 우편물을 실어나르는 차량도 부족해 우체국 업무를 규정대로 취급할 수는 없었다. 특히 우편물의 집배업무를 맡고 있는 집배원이 쥐꼬리만한 월급으로 생활할 수 없어 대부분 복귀하지 않았다. 당시는 공무원의 보수가 매우 낮은 데다 물가가 비싸 월급으로 받은 돈은 푼돈에 불과했다. 그러다 보니 대부분의 집배원이 선뜻 종전의 자리로 돌아오지 않았던 것이다.
나만의우표 코너에 몰려든 관객들

  그처럼 우편물을 수집하고 배달할 집배원이 부족하자 광화문우체국은 특이한 방법으로 그 문제를 해결했다. 우선 우편물의 접수 업무는 우체국 창구에서만 취급했다. 우체통을 이용하는 접수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우편물의 배달은 수취인의 성명을 우체국의 정면 벽에 게시해 놓고 수취인이 직접 찾아가도록 했다. 그처럼 비상수단을 동원해야 할 만큼 인력이 부족했다. 관공서로 가는 우편물만큼은 우체국 직원들이 직접 배달해 주었다. 아무튼 광화문우체국이 업무를 재개한 것은 서울시청이 다시 업무를 시작하기도 전이었다.
  서울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가장 큰 우체국인 서울중앙우체국을 제쳐두고 광화문우체국에서 먼저 우편업무를 재개한 데는 그럴 만한 사연이 있었다. 서울중앙우체국은 6ㆍ25전쟁 중에 청사가 파괴되어 업무를 수행할 수 없었다. 광화문네거리에 위치한 광화문우체국은 다행스럽게도 전쟁 중에 큰 피해를 입지 않아 바로 업무를 재개할 수 있었다.
  광화문우체국에 이어 서울시내의 일부 우체국도 업무를 재개했다. 6월 25일 서울시청이 제 위치로 복귀한 데 이어 서울시내의 우편업무 재개 범위도 한층 확대되었다. 광화문우체국이 업무를 재개한 지 한 달 만인 7월 15일에는 용산, 서대문, 청량, 신설동, 을지로4, 을지로7, 마포, 신촌, 통의동, 용문동, 이태원, 돈암동, 신당동 등 13개 우체국이 업무를 다시 시작했다. 이어 8월 1일에는 수색우체국과 서울 근교의 한강 이북지역에서 치안이 확보된 양수, 지평, 양평, 용두, 의정부 등 5개 우체국이 업무를 재개했다.
  7월 15일 서울시내 13개 우체국에서 우편업무를 재개하면서 우편물의 배달 방법이 바뀌었다. 6월 15일 광화문우체국에서 우편업무를 재개할 당시에는 수취인이 직접 우체국으로 찾아가 수취하는 방식이었는데, 7월 15일 각 우체국에서 우편업무를 재개할 때에는 각 우체국에서 우편물을 수취인이 거주하는 동회에 배달하면 동회에서 수취인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그 방식 역시 시대 상황에 따른 임시조치에 불과했고, 그 뒤 우체국 직원들이 직장으로 복귀함에 따라 9월 1일부터 정상적인 집배업무를 실시할 수 있었다.
  아무튼 6ㆍ25전쟁 중에 서둘러 우편 업무를 재개했던 광화문우체국은 서울시내의 우편물 수취인의 명단을 우체국 벽에 게시해 놓고 수취인으로 하여금 직접 방문해 우편물을 찾아가게 하는, 세계 우편사상 보기 드문 진기록을 남겼던 것이다.

일화로 보는 우편 130년 이전글 다음글 보기
이전글 우표의 팬시화에 시동을 건 향기 우표
다음글 임시정부 연통부와 동화약품 초대 사장 민강

기 발행된 모든 우표류(우표, 엽서, 원화, 우표책, 우표첩, 날짜도장)의 이미지 및 내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미지와 내용을 변경하여 사용시에는 우정사업본부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